백선엽 장군

GENERAL PAIK SUN-YUP
6.25 전쟁 주요 일지

6.25 전쟁에 대한 상세한 기록

01. 초기전투 및 후퇴작전기(1950.6.25.~7.31)
연월일 전황 기타/관련사항
1950. 6.25 ·북한군 38선 전지역에서 남침
·백두산호 대한해협해전, 부산침투 600명/함정 격침
·UN안보리, 남침을 평화 파괴행위로 규정, 즉각 철퇴요구
6.26 ·국군 17연대, 옹진⇒인천으로 철수
6.27 ·국군 6사단, 춘천 북쪽에서 1개연대 섬멸/진지고수 하다가 홍천으로 철수 ·UN안보리, 북 침략 격퇴위한 무력 원조를 UN제국에 요구
6.28 ·북한군 3,4,5사단 및 105전차여단 서울 점령, 한강방어 ·美극동군사령관 MacArthur 원수 한강시찰(6.29)
6.30 ·육군참모총장에 정일권 소장 발령, 북한군 한강도하개시 ·32개국 UN에서 무력원조 결의
7.1 ·국군 6사단, 원주⇒충주로 철수, 스미스부대 부산도착
7.5 ·스미스부대, 오산 죽미령에서 최초 교전
·국군 6사단7연2대대, 무극리 전투로 1개연대 섬멸(~8)
·美대통령, UN군사령관에 MacArthur 임명(7.8)
7.10 ·북한군, 단양~음성~제천선 진출
·美24사단 전의에서 교전, 美25사단 주력 부산 상륙
7.14 ·육본/정부, 대전⇒대구 이동
·이승만, 작전지휘권을 UN군사령관에게 이양
·UN사무총장, UN 회원국에 지상부대 파견 요청
7.17 ·국군 17연대, 화령장에서 북한군 48연대 섬멸
7.19 ·美24사단, 대전전투에서 3.5"로켓포로 북 전차8대 파괴
·美24사단장 Dean 소장 후퇴중 실종(7.20)
7.23 ·북 6사단, 광주(7.23), 여수(7.24)점령, 하동 진출(7.26)
·Walker 중장, 美25사단에 상주 사수 명령(7.29)
·UN군사령부 설치(도쿄, 7.25)
7.31 ·북한군, 진주~묘산~김천~예천~안동~영덕선 진출
02. 낙동강 최후 방어선 작전기(1950.8.1.~9.14)
연월일 전황 기타/관련사항
1950. 8.1 ·Walker 美8군사령관 현 전선 철수/낙동강 방어선 구축 명령
·북한군 8월공세 개시(8.4~24), 낙동강 철교 폭파(8.3)
·Truman 美대통령 특사와 MacArthur 사령관, 동경 요담(8.6)
8.3 ·美5해병대/국군 해병대 진동리 전투(8.3~9)
·창녕/영산 서쪽 낙동강 돌출부 1차 전투(8.5~19)
8.7 ·美Keen 특수임무부대 진주 남강까지 반격(8.7~12)
·국군 3사단, 흥해 북쪽 장사진에서 고립(8.10)
8.11 ·북한군 5사단 및 766부대 포항 일시 점령
·국군 3사단/민기식 부대 포항전투(~8.31)
8.16 ·왜관 융단폭격(B-29폭격기 98대 폭탄 900톤)
·美1기병사단 왜관 전투(8.9~17)
8.17 ·국군 해병대 통영 상륙/탈환전(~8.19) ·'귀신 잡는 해병대’별칭 유래
8.21 ·국군 1사단, 다부동전투로 북한군 3개 사단 저지(8.3~21)
8.31 ·국군 수도사단, 기계-안강 방어전투 성공(8.9~9.22)
9.2 ·국군 8사단 영천 전투, 북한군 15사단 섬멸( 9.2~13)
·육본 및 美8군사령부 대구⇒부산 이동(9.5)
·美NSC, 북진문제 토의(9.1)
·인천·군산에 함포사격(9.5~)
9.10 ·국군 1사단, 팔공산에서 북한군 1사단 격퇴(~9.13) ·美정부, 북진 원칙 확정(9.11)
9.17 ·美2사단, 현풍/창녕 낙동강 돌출부 2차 전투(8.31~9.17)
03. 인천상륙, 반격 및 북진작전기(1950.9.15.~11.30)
연월일 전황 기타/관련사항
1950. 9.15 ·美10군단, 1해병대, 국군 해병대를 선두로 인천 상륙
·UN군 및 국군, 낙동강 전선에서 반격 개시(9.16)
·美합참, UN사령부에 북진준비 훈령 하달
9.19 ·UN군, 서울 탈환작전(~9.28), 美9군단 창설(9.23)
9.27 ·Lynch 특수임무부대와 美7사단31연대 08시26분 오산에서 연결
·美34사단, 대전 탈환(9.28)
美합참, UN군의 북진 명령(9.27)
10.1 ·국군 3사단 동해안 38선 돌파, 美1기병 임진강선 진출 ·중국, 북진저지 결의 표명
10.8 ·美1기병사단, 서부전선에서 38선 돌파 ·32개국 UN에서 무력원조 결의
10.10 ·국군 1군단(수도, 3사단) 원산 입성(10시부)
10.16 ·중국군, 은밀히 국경 남침 개시 ·美극동군사령관 MacArthur 원수, 북의 항복 최후통첩
10.19 ·국군 1사단, 평양입성
·美187공정연대전투단, 숙천~순천에 낙하(9.20)
10.26 ·국군 6사7연대, 압록강 초산 돌입, 美10군단 원산상륙
·중공군의 1차 공세(~11.1) 美8군·국군 3사단과 격전
·UN참전국 공동성명으로 만주 불침 공약과 중공군 철퇴 요구
10.30 ·美24사단, 압록강 이남 76km지점 도달
11.1 ·美8군사령부, 전 부대 청천강 선으로 철수 명령
·MacArthur 사령관 압록강교 폭파 명령(11.6)
11.21 ·美7사17연대 혜산진 도달.
·MacArthur 사령관, 종전공세 개시 지시(11.24)
·美NSC, 중공군개입사태 토의
11.25 ·국군 수도사단 청진입성, 중공군 2차공세 개시(~11.27)
·美7사단 예하 특임대 장진호 전투중 전멸(~12.1)
·Truman 美대통령, 기자회견에서 대한 원폭 사용 가능성 시사
04. 중공군 개입 및 전선격동기(1950.12.1.~1951.6.30.)
연월일 전황 기타/관련사항
1950. 12.1 ·UN군 지휘관회의, 전면 후퇴 결정
·美8군, 평양에서 철수(12.4)
 
12.8 ·美1해병사단, 장진호 유담리⇒하갈우리⇒고토리 후퇴작전(12.1~8) ·미·영 수뇌회담, 협상 통한 현상 동결 원칙에 합의(12.8)
12.15 ·美8군, 38선 일대에 신방어선 구축 개시 ·美, 대중국 금수령 발표
12.16 ·美10군단, 흥남교두보 방어 및 해상 철수작전(~12.24) ·나토사령관에 Eisenhower 임명
12.23 ·美8군사령관 Walker 교통사고 사망, 후임 Ridgeway 임명 ·美합참, 축차적 지연전 하달
12.31 ·중공군, 38선 넘어 3차(신정공세) 개시 ·美극동군사령관 MacArthur, 대중국 확전 건의
1951. 1.2 ·UN군, 서울 북방 신방어선 후퇴, 1,6사단 한강이남 철수
·정부/군 수뇌부 부산이전, UN군 및 국군 서울 철수(1.4)
·중공군, 원주-충주-오산 점령(1.8)
·美합참, 축차적 지연전 MacArthur에게 재 하달
1.12 ·UN군, 평택~원주~삼척 방어선 확보
·美1군단, Wolfhound작전, 수원 돌입(1.15)
·美1·9군단, Thunderbolt 작전 개시(1.25)
·美10군단/국군 3군단 Roundup작전 개시(2.5)
 
2.13 ·중공군 4차(2월 공세) 개시(~2.17)
·美2사23연대/프랑스 대대 지평리 전투 대승(~2.15)
·美1·9군단, Killer(2.21), Ripper(3.7) 작전
·UN총회, 중국을 침략자로 규탄 결의안 가결(2.1)
3.14 ·국군 1사단, 서울 재탈환(3.14), UN군 38선 도달(3.31)  
4.22 ·중공군 1차 춘계(4월)공세 개시(~4.28)
·국군 6사단, 사창리전투 패배(~4.23)
·영국군 글로스터연대, 설마리전투 분전(~4.25)
·영연방 27여단, 가평전투에서 중공군 저지(~4.30)
·UN군사령관 MacArthur 해임⇒Ridgeway 임명(4.9)
·美8군사령관에 Van Fleet 대장 임명
5.16 ·중공군 2차 춘계(5월)공세 개시(~5.23)
·국군 3군단(3·7·9사단), 현리전투에서 대패로 해체(5.25)
·국군 6사단, 용문산전투 대승(5.17~19),
·추격전 및 파로호전투로 중공군3개사단 격멸/화천 확보(~5.29)
·Van Fleet,육본작전통제권 정지
·이승만 특명 '화천댐을 확보하라'
6.1 ·美1,9군단, Wyoming선으로 진출 개시
·국군, 고성 확보(6.2), 철원 및 금화 점령 (6.13)
·국군 해병대, 도솔산 전투 (6.4~19, '무적해병’휘호),
·Ridgeway UN군사령관, 북에 휴전회담 제의 (6.29)
05. 휴전협상 및 전선고착기(1951.7.1.~1953.7.27.)
연월일 전황 기타/관련사항
1951.7.21 ·휴전회담 개최로 전선 소강상태(6.29~7.26)
·美2사단, 펀치볼 전투 개시, 동남쪽 대우산 공격(~29)
·개성에서 휴전회담 개막(7.10)
·휴전회담 의사일정 합의(7.26)
8.18 ·UN군, 펀치볼/피의 능선 전투(8.18~9.15)
·국군 1, 8사단, 백석산 전투(8.18~10.28)
·美2사단, 단장의 능선 전투(9.13~10.13)
·휴전회담 북측, 38선을 군사분계선으로 확정 고집(8.10)
10.25 ·국군 7사단,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10.25~28)
·UN군사령부, 공격작전 중지/적극방어태세로 전환(11.12)
·휴전회담장소 판문점으로 합의(10.22), 포로명단 교환(12.18)
1952. 2~9월 ·국군 1전투비행단, 승호리철교 폭격 성공(1.12~15)
·국군 7사단, 크리스마스 고지 2차전투(2.11~13)
·나토사령관 Ridgeway, UN군사령관 Clark 부임(5.12)
·美1해병사단 벙커고지 전투(8.9~16)
·국군 5사단, 펀치볼 북쪽 가칠봉 전투(9.4~10.14)
·수도사단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9.6~20)
·Van Fleet,야전훈련사령부(FTC) 운용 국군 9개 사단 교육, 12개 사단 창설('51.7월~'52.6월)
·백야전사령부, 공비토벌작전 ('51.11.25~'52.3.14)
·거제도 포로수용소장 Dodd 장군 납치 소동('52.5.7~11)
10~12월 ·프랑스 대대, 화살머리 전투(10.6~9)
·국군 9사단, 백마고지 전투(10.8~15)
·美9군단, Showdown작전, 美7사단 철의 3각지/저격능선 공격(10.14~24)
·국군 2사단, 저격능선 점령(11.25)
·Eisenhower 美대통령 당선자, 방한(12.2~5), 장기화시 중국본토 핵공격 암시
1953. 1~2월 ·동계 혹한으로 全 전선 소강 상태  
2.11 ·美8군사령관 Van Fleet⇒Maxwell Taylar로 교체  
2.18 ·美 전폭기 24대, 수풍발전소 폭격(2.11~19)  
3.23 ·美7사단, Old Baldy 및 Pork Chop 전투(3.23~29), 2차 Pork Chop 전투(4.16~18) ·소련 스탈린 사망(3.5) ·병상포로 교환(4.20~26)
6.2 ·국군 15사단, 351고지 전투(6.2~6) ·휴전회담, 포로송환 타결, 이승만 대통령, 휴전불가 성명(6.8)
6.10 ·중공군 금성지구 국군 2군단 정면에 춘계공세(6.10~18)
·역곡천 북쪽 화살머리 고지 전투(7.6~11)
·이승만 대통령, 반공포로 27,000명 석방(6.18)
7.15 ·중공군 금성지구 국군사단 정면에 집중공세(7.13~)
·국군 1사단11연대, 베티고지 전투(7.15~16)
·국군 1사단12연대, 노리고지 전투('52.12월~'53.7.27)
·한국민, 휴전반대 시위 절정 (7.6~12)
7.27 ·全 전선에서 전투 종료(22시부) ·판문점, 휴전협정 조인(10시)